날씨가 더워지면서 실내에서 에어컨을 과도하게 틀어놓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요, 그런 경우 냉방병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증상도 다양한데요, 두통, 감기, 피로감, 비염, 안구건조증, 편도선염, 피부질환, 각막염 등이 있습니다.
특히 콧물, 기침, 발열 등 감기로 오인하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여름 감기 같은 경우는 바이러스에 의해 코와 목, 상부 호흡기계가 감염되는 급성 질환 중 하나로 기침, 콧물, 미열, 두통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반면에 냉방병 같은 경우 바이러스에 의해서 나타나는 질환이 아니고 실내와 외부의 과도한 온도 차이 때문에 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여름철 질환입니다.
두 질병을 구분하는 방법은 환경변화에 따른 나의 몸 상태를 체크해 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낮은 온도로 에어컨이 켜져있는 실내에 있다가 밖으로 나왔을 때 춥거나 기침이나 두통이 호전되는 경우에는 감기보다는 냉방병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냉방병이 아닌지 확인해보는 방법으로는,
-콧물, 코막힘이나 기침 등의 증상이 지속된다.
-자주 어지럽고 두통이 있다.
-쉽게 몸이 피로하며 나른한 느낌이 든다.
-집중력이 떨어진다.
-식욕이 떨어지며 소화불량이나 위장장애 증상이 있다.
-근육통이 있고 신경통이나 손발이 붓기도 한다.
-생리통이 심해지거나 생리불순이 나타난다.
냉방병을 방치하게 되면 폐렴으로 이어질 수도 있고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이 있다면 빠를 시일내에 가까운 병원에 내원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에어컨은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될 기계이지만 인위적으로 차가운 공기를 만들어내서 우리가 그 공기를 접하게 되면 우리 몸은 갑자기 변혼 환경에 적응을 못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냉방병이 생기는 것입니다.
특히나 에어컨 청소를 안해줄 경우 '레이오넬라균'이 에어컨 바람과 함께 공기중으로 퍼지고 바이러스를 전염시켜 냉방병을 걸리게 됩니다. 이 질환의 증상은 독감증상과 비슷하고 폐렴이나 장기 장애, 심할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만큼 신경을 안쓸 수 없는 질병입니다. 또한 전염성이 강해서 건물 전체로 퍼져나갈 수 있으니 수시로 냉강기를 청소와 점검해주어야 합니다.
또한 냉방중에라도 환기를 자주 시켜줘야 하는데요 그러지 못할경우 '밀폐 건물 증후군'에 걸릴 수 있습니다. 이 증상도 역시 냉방병이 원입니다. 덥더라도 주기적으로 환기를 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냉방병 예방수칙!
-실내와 실외 온도차이는 5-6도 이하 실내온도 24-27도를 유지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에어컨을 켰을 때 냄새가 난다면 곰팡이 서식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1년에 2-4회 냉각수 교체, 소독은 필수입니다
또한 2주마다 필터를 청소해주어야 합니다.
-긴 소매의 옷을 준비해서 에어컨의 찬 공기가 몸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해줍니다.
-에어컨을 1시간 가동했다면 30분 정도 정지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충분한 휴식을 취해주고 비타민C가 많은 과일을 섬취해서 면역력을 높여주면 좋습니다 .
-차가운 음식보다는 따뜻한 물을 수시로 마셔줍니다.
-2-4시간마다 5분 정도는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줍니다.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을 해줍니다.
냉방병은 주위 환경을 개선해 주면 호전됩니다. 하지만 냉방병이 이미 많이 진행된 상태라면 에어컨을 바로 중단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부득이 그러지 못할 경우에는 에어컨 온도를 조금 올려주고 사용시간을 줄여줍니다. 차가운 실내 공기로 떨어진 체온을 회복하기 위해 그늘이나 밖에서 산책을 잠시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여름에 덥다고 얼음을 가득 넣은 음료를 마시는 것 보다는 체내 수분을 공급해주는 따뜻한 차나 물을 마셔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병원을 찾아서 약물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의 생활에 편리하고 편안함을 주지만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것도 염두해 두고 항상 관리하는 마음으로 작게나마 실천하는게 어떨까요?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관지에 좋은 차 5가지알아보고 미리 예방해요. (0) | 2020.07.06 |
---|---|
관절에 좋은 음식 10가지! 알고 관리해봐요. (0) | 2020.06.25 |
환절기에 면역력을 높여주는 건강차를 알아보아요. (0) | 2020.04.07 |
입냄새 제거에 좋은 음식 알려드려요. (0) | 2020.04.06 |
소화가 잘 되는 음식 알아봐요! (0) | 2020.02.05 |
댓글